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그런데 김남국 의원이 갖고 있던 코인 실명제에 적용되지 않는 사각지대 지갑 하나가 아니었습니다. <br> <br>제도 도입 직전 또 다른 지갑에도 위믹스 2억 원 어치를 보냈습니다. <br> <br>곽민경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김남국 의원의 또 다른 전자지갑, 플레이월렛입니다. <br> <br>위믹스 발행사 위메이드가 운영하는 플레이월렛은 카카오 클립과 마찬가지로 '코인 거래 실명제'가 적용되지 않습니다. <br> <br>취재 결과 김 의원은 클립에 보낸 40억여 원어치 외에도 플레이월렛 지갑에 위믹스를 이체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<br>김 의원은 2021년 10월부터 지난해 1월 초까지 빗썸에서 플레이월렛으로 위믹스 8만4400개를 옮겼습니다. <br> <br>총 2억 3천만 원어치입니다.<br> <br>코인판 금융실명제인 '트래블 룰' 도입을 앞두고 빗썸이 두 달 간 개인지갑으로 코인 출금을 막았는데, 출금 제한이 걸리기 직전 위믹스를 옮긴 겁니다. <br> <br>유명 기업이 운영하는 코인 지갑들이 실명제 적용을 받지 않는 이유는 회사가 개인 전자지갑의 비밀번호를 관리하지 않아 신고 대상에서 벗어났기 때문입니다. <br><br>이렇다보니 지난해 하반기 가상자산거래소에 있던 코인이 외부로 빠져나간 거래에서 실명제가 적용된 비중은 25%에 그쳤습니다.<br> <br>[조상규 / 변호사] <br>"자금 세탁이라든지 탈세에 활용될 가능성이 너무 높기 때문에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이에 대한 규제가 이루어져야 할 것 같습니다." <br> <br>앞서 김 의원은 지난 8일 입장문에서 "모든 거래를 실명계좌를 통해 했기 때문에 트래블 룰 시행 시기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장현국 위메이드 대표는 오늘 국민의힘 코인게이트 진상조사단을 만나 "에어드롭으로 특정인에게 위믹스를 주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곽민경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: 채희재 이락균 <br>영상편집: 이혜리<br /><br /><br />곽민경 기자 minkyung@ichannela.com